목록도메인 (6)
컴공생의 다이어리
서브 도메인(Sub Domain)이란? 서브 도메인은 보조 도메인으로써, URL로 전송하거나 계정 내의 IP 주소나 디렉토리로 포워딩되는 도메인 이름의 확장자이다. 예를들어 네이버는 여러 서비스들을 아래와 같은 서브도메인을 통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 네이버 메일 : mail.naver.com 네이버 금융 : finance.naver.com https://jcwebs.org/sub-domain/ 서브도메인(sub domain)이란 ? - JCWebs 웹사이트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 서버를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온도와 습도를 최적화 시킨 환경을 갖춘 전산실, 전산실과 서버를 운용할 관리자들, 서버를 […] jcwebs.org h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ZWSP/btrlzNz2CzJ/oUhWlkl7HMYpUhUSEKo9sk/img.png)
노션(Notion) 워크스페이스 도메인 설정 노션은 워크스페이스에 대한 도메인 설정이 가능하다. 노션의 설정과 멤버 메뉴에 들어가면 아래의 2번째 사진과 같이 나온다. 여기서 설정 탭을 누르고 도메인 영역에 원하는 도메인 명을 입력하면 워크스페이스에 대해 도메인을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이미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은 사용할 수 없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1yhm/btrgRM5CMtS/nbUq8lXOAR7ISdbs8OZsB1/img.png)
도메인(Domain)이란? 도메인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ip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 등)로 만든 인터넷 주소이다. 도메인 체계 도메인은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아래 그림과 같이 역트리(Inverted tree)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와 같이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 :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 도메인 레벨 중에 가장 높은 단계에 있는 도메인이다. 7 개의 일반도메인(com, net, org, edu,, gov, mil, int)과 + 190여개의 국가 도메인(kr, de, jp..)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도메인은 도메인의 목적, 종류, 국..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이란? 퍼블릭 도메인은 저작권(저작재산권)이 소멸되었거나 저작자가 저작권을 포기한 저작물을 말한다. 퍼블릭 도메인을 자유 이용저작물이라고도 한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자! 한글을 사용할 때, 세종대왕이나 그 유족들에게 라이센스(저작권) 비용을 지급하는가? 그렇지 않다. 한글이 바로 퍼블릭 도메인이기 때문이다. 발생원인 퍼블릭 도메인은 크게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의해 생성된다. 저작자가 자신의 의사표시로 저작권을 포기한 경우 저작권 보호기간이 지난 경우 법령이 특정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소멸을 규정한 경우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은 저작권이 없는 것 ko.wikipedia.org/wiki/%ED%8D%BC%EB%B8%94%EB%A6%AD_%EB%8F%8..
무결성(Integrity)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 세계의 실제 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한다. 무결성 제약조건은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정확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약 조건을 말한다. 무결성의 종류 ▶ 개체 무결성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값이나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 ▶ 참조 무결성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 함 (즉, 릴레이션은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 ▶ 도메인 무결성 주어진 속성 값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 한다는 규정 ▶ 사용자 정의 무결성 속성 값들이 사용자가 정의한 제약조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PZHv/btq2lAE2xpY/HfgOTfyyYlhGDH0bLt4IIk/img.png)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2차원적인 표(Table)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를 모두 릴레이션(Relation)이라는 표(Table)로 표현하기 때문에 개체를 개체 릴레이션과 관계 릴레이션이 존재 - 장점 간결하고 보기 편리 다른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용이 - 단점 성능이 다소 떨어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 구조 릴레이션(Relation)은 데이터들의 표(Table)의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튜플(Tuple) 튜플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을 말하며 속성의 모임으로 구성된다. 파일 구조에서 레코드와 같은 의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