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실기 (26)
컴공생의 다이어리
수학적 산정기법 - 수학적 산정기법은 상향식 비용 산정 기법으로, 경험적 추정모형, 실험적 추정모형이라고도 함 - 개발 비용 산정의 자동화를 목표로 함 - 비용의 자동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공식은 과거의 유사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유도된 것 - 주요 수학적 산정 기법 : COCOMO, Putnam, 기능 점수(FP) 모형 COCOMO 모형 - 원시 프로그램의 규모인 LOC에 의한 비용 산정 기법 -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규모(LOC)을 예측한 후 이를 소프트웨어 종류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비용 산정 방정식에 대입하여 비용을 산정 - 비용 산정 결과는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노력(Man-Month)으로 나타냄 - 보헴(Bohem)이 제안함 Putnam 모형 - Putnam 모형은 소프트웨어 생명 주..
소프트웨어 재사용(Software Reuse) - 이미 개발되어 인정받은 소프트웨어를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유지에 사용하는 것 - 소프트웨어 개발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 기존에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경험, 지식 등을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적용함 - 소프트웨어 재사용 방법 합성 중심(Composition-Based, = 블록 구성 방법) : 전자 칩과 같은 소프트웨어 부품, 즉 블록을 만들어서 끼워 맞춰 소프트웨어를 완성시키는 방법 생성 중심(Generation-Based, =패턴 구성 방법) : 추상화 형태로 써진 명세를 구체화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 소프트웨어 재공학(Software Reengineering) - 새로운 요구에 맞도록 기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나은 시스템을 구축하..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 DDL은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로서 '데이터를 담는 그릇을 정의하는 언어' -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고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들로 특정 구조를 생성, 변경, 삭제, 이름을 바꾸는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 DDL 명령어 DDL 명령어는 CREATE, ALTER, DROP, TRUNCATE가 있다. 구분 DDL 명령어 설명 생성 CREATE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생성하는 명령어 수정 ALTER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변경하는 명령어 삭제 DROP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삭제하는 명령어 TRUNCATE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내용 삭제하는 명령어 생성(CREATE) ▶ CREATE TABLE - CREATE TABLE은 테이블을..
요구사항 명세(Requirement Specification)란? - 요구사항 명세는 분석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모델을 작성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의미 - 기능 요구사항을 빠짐없이 기술 - 비기능 요구사항을 필요한 것만 기술 - 구체적인 명세를 위해 소단위 명세서(Mini-Spec)가 사용될 수 있음 요구사항 명세 기법 구분 정형 명세 기법 비정형 명세 기법 기법 수학적 원리 기반, 모델 기반 상태/기능/객체 중심 작성기법 수학적 기호, 정형화된 표기법 일반 명사, 동사 등의 자연어를 기반으로 서술 또는 다이어그램으로 작성 특징 - 요구사항을 정확하고 간결하게 표현 가능 - 요구사항에 대한 결과가 작성자에 관계없이 일관성이 있으므로 완전성 검증이 가능함 - 표기법이 어려워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움 - 자연..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oftware Life Cycle)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 운용,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와 각 단게별 주요 호라동 그리고 활동의 결과에 대한 산출물로 표현 생명 주기 모형의 종류 : 폭포수 모형, 프로토타입 모형, 나선형 모형, 애자일 모형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 폭포수 모형은 이전단계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각 단계를 확실히 끝내고 그 결과를 철저하게 검토하여 승인 과정을 거친 후에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개발 방법론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 모형을 적용한 경험과 성공 사례가 많음 각 단계가 끝난 후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결과물이 명확하게..
MATCH 함수 =MATCH(찾는 값, 찾을 범위, 타입) MATCH 함수는 지정된 범위에서 찾는 값이 몇 번지에 있는지 판단하는 함수이다. 타입에는 0,1,-1이 있다. 0은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으라는 것이고 1과 -1은 근사값을 찾는 것인데 1의 경우는 오름차순이고 -1의 경우는 내림차순으로 유사한 값을 찾는다. INDEX 함수 =INDEX(배열, 행번호, 열번호) INDEX 함수는 지정한 행과 열에 해당하는 값 출력하는 함수이다. 출처 : 유동균 컴퓨터활용능력 인강
DATE 함수 =DATE(년, 월, 일) DATE 함수는 년,월,일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받아 날짜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ex) DATE(2021,01,31) → 2021-01-31 EDATE 함수 =EDATE(기준날짜, 더할 월값) EDATE 함수는 지정된 날짜 전후의 달의 날짜를 구하는 함수이다. ex) EDATE(기준날짜,10*12) → 기준날짜로부터 10년 뒤의 날짜 EDATE(기준날짜,-10*12) → 기준날짜로부터 10년 전의 날짜 출처 : 유동균 컴퓨터활용능력 인강
DCOUNT 함수 =DCOUNT(표의 범위, 필드, 조건) DCOUNT 함수는 조건에 맞는 자료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표의 범위는 필드명까지 포함해서 잡아줘야 하며, 필드에는 필드명을 넣어도 되지만, 숫자로 넣어도 된다. 만일 1을 넣는다면 첫번째 필드를 가리키는 것이다. DCOUNTA 함수 =DCOUNTA(표의 범위, 필드, 조건) DCOUNTA 함수는 조건에 맞는 자료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표의 범위는 필드명까지 포함해서 잡아줘야 하며, 필드에는 필드명을 넣어도 되지만, 숫자로 넣어도 된다. 만일 1을 넣는다면 첫번째 필드를 가리키는 것이다. DCOUNT와 DCOUNTA의 차이 DCOUNT 함수는 그 영역에 숫자가 있는 갯수 DCOUNTA 함수는 그 영역에 조건이 몇개 있는지 확인 http..
QUOTIENT 함수 =QUOTIENT(수, 나눌수) QUOTIENT 함수는 나눈 값의 몫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ex) quotient(5,2)=1 MOD 함수 =MOD(수, 나눌수) MOD 함수는 나눈 값의 나머지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ex) mod(5,2)=1 예시 문제 근무기간(기준일 - 입사일의 값)을 "y년 m개월" 형태로 출력하라. 이때, 1개월은 30일로 가정하시오. 정답 =QUOTIENT(기준일-입사일,365)&"년 ""IENT(MOD(기준일-입사일,365),30)&"개월" 출처 : 유동균 컴퓨터활용능력 인강

VLOOKUP 함수와 HLOOKUP 함수의 사용법은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 차이는 바로 지정 값의 검색 방향이다. VLOOKUP의 경우 열을 검색하고, HLOOKUP은 행을 검색한다. VLOOKUP 함수 =VLOOKUP(①찾는 값, ②데이터 테이블 범위, ③열 번호, ④완전일치여부) VLOOKUP 함수의 V는 Vertical(수직)의 약자이다. 찾을 범위(②)가 수직이면 VLOOKUP함수를 사용한다. HLOOKUP 함수 =HLOOKUP(①찾는 값, ②데이터 테이블 범위, ③행 번호, ④완전일치여부) HLOOKUP 함수의 H는 Horizontal(수평)의 약자이다. 찾을 범위(②)가 수평이면 HLOOKUP함수를 사용한다. cf) LOOKUP 함수 =LOOKUP(찾는 값, 찾을 범위,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