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상수 (2)
컴공생의 다이어리
상수(constant)란 무엇인가?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1년은 12개월이고, 하루는 24시간이고 이런 것은 변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식으로 변하지 않는 수인 상수를 자바에서는 final이라는 예약어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상수를 사용하면 변하지 않는 값을 반복하여 사용할 때 의미있는 문자로 인식하기 쉽고, 혹시 상수 값을 변경해야 한다고 해도 선언한 부분 한 곳만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여러 곳을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상수 예시 public class ConstantFinal{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final int Month = 12; final int Hour; Hour = 24; //Month = 13; } } 변수 선..
텐서플로우에서는 변수와 상수 기능을 제공한다. 상수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숫자를 의미하며 텐서플로우에서는 constant() 함수를 이용해서 정의할 수 있다. In [1]: import tensorflow.compat.v1 as tf tf.disable_v2_behavior() a = tf.constant(1) #1이라는 원소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배열을 만들어서 a에 넣어줬다. b = tf.constant(2) #2라는 원소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배열을 만들어서 b에 넣어줬다. c = tf.add(a,b) #a와 b를 더한 그 tensor의 값을 담아줌 sess = tf.Session() #하나의 session 객체 생성 sess.run(c) #session 객체 실행 Out[1]: 3 위의 코드를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