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환경변수 (3)
컴공생의 다이어리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테스트 실행환경 분리 이번 글에서는 테스트 실행환경 분리를 위한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제일 먼저 application.yml(환경변수) 파일에 테스트 환경을 추가해준다. # application.yml spring: config.activate.on-profile: default --- spring: config.activate.on-profile: test 이때, 테스트 환경에 대한 환경 변수 파일을 test 하위에 분리해주는 방법도 있다. 환경 변수 파일을 test 하위에 만들어주면 자동으로 main 하위의 환경 변수 파일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분리한 테스트 환경을 적용시켜주기 위해 테스트 클래스에 @ActiveProfiles를 아래와 같이 ..
[Spring Boot] 환경변수 파일(application.yml) local, dev, prod 환경 분리 스프링 부트에서 로컬(local), 개발(dev), 운영(prod) 등의 환경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profile을 활용해 설정 정보를 분리할 수 있다. profile은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 을 통해서 profile 이름을 작성을 적고 하위에 해당 profile에 대한 설정을 작성해주면 된다. profile 환경 정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이 크게 2가지가 있다. 하나의 파일 안에서 환경 분리 yml 파일 분리 하나의 파일 안에서 환경 분리 하나의 파일 안에서 --- 를 넣어서 profile을 분리한다. # profile 정보가 없는 맨 위 부분은..
환경 변수(environment variable)란? 환경 변수란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다. OS(ex) 윈도우, 리눅스 등)의 환경변수는 시스템의 실행 파일이 놓여 있는 디렉터리의 지정 등 OS 상세서 동작하는 응용소프트웨어가 참조하기 위한 설정이 기록된다. 응용소프트웨어는 시스템콜(system call)이나 OS의 표준 API 등을 통하여 간단히 값을 얻을수록 되어있다. 쉽게 이야기해서 각자 깊숙이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쉽게 꺼내쓰기 위해서 미리 변수로 등록해 놓는 것을 말한다. 윈도우의 경우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환경변수를 눌러 주면 관련해서 환경변수를 필요에 따라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