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ASE (2)
컴공생의 다이어리
프로그래밍을 할 때, 변수나 클래스명을 지을 때, 두가지 이상의 단어를 조합할 때 아래와 같은 케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 snakae_case 언더바(_)를 사용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해준다. 언더바가 들어 있는 표현 방식을 뱀처럼 생겼다고 하여 스네이크 케이스라고 한다. 카멜 케이스(Camel Case) camelCase 중간 글자들은 대문자로 시작하지만 첫 글자가 소문자인 경우에는 낙타와 모양이 비슷하다하여 카멜 케이스라고 한다. 케밥 케이스(Kebab Case) kebab-case 케밥 케이스는 케밥이 꼬챙이에 꽂힌 모습에서 생긴 방법이다. 모든 단어가 소문자로 되어 있고, 단어와 단어 사이는 바(-)로 연결된다.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 Pascal..
자바(Java)의 switch-case문 switch-case문은 if-else if-else 문을 사용할 때 복잡하고 번거로운 부분을 가독성 좋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비교 조건이 특정 값이나 문자열인 경우에 사용한다. 각 조건이 만족되면 break문을 사용해 switch 블럭을 빠져나오도록 구현한다. 아래는 한달이 며칠인지 알려주는 것을 switch-case문을 사용해 구현한 코드이다. public class MonthSwitch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month = 10; int day; switch(month) { case 1:case 3: case 5: case 7: case 8: case 10: case 12: day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