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SH (3)
컴공생의 다이어리

[Git] gist ssh로 clone gist를 깃을 사용해 로컬로 clone할 때 ssh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새로운 gist 생성하거나 기존의 gist가 있다고 가정하고 시작한다. 아래의 캡처 사진에 보이는 숫자를 따라 클릭을 해서 gist의 주소를 복사한다. 그 다음 내 컴퓨터(로컬)에서 원하는 위치에 bash창을 열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gist를 로컬로 가져올 수 있다. 물론 이 명령어는 ssh key가 미리 깃허브에 등록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git clone {복사한 gist 주소} # example git clone git@gist.github.com:lalrarahoho52.git 혹시 ssh key 등록을 했고 github의 저장소는 clone 되는데 ..

Gitlab ssh-key 등록 깃랩에 ssh-key 등록을 하기전 자신의 컴퓨터에 ssh-key를 발급해야 하는 과정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하는 걸 추천한다. [Git] 컴퓨터에 github 계정 여러개 연동하기 : ssh-key 발급, 등록 컴퓨터에 github 계정 여러개 연동하기 : ssh-key 발급, 등록 github 계정이 부캐처럼 몇개 있는데 컴퓨터에서 각각의 계정에 대한 repository를 clone하고 commit을 push하는 것을 나는 Github Desktop을 사용해.. 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 이제 깃랩에서 발급한 ssh-key를 등록하는 과정을 정리하겠다. 우선 깃랩 홈페이지의 우측 상단의 프로필 이미지를 누르고 Edit profile..

컴퓨터에 github 계정 여러개 연동하기 : ssh-key 발급, 등록 github 계정이 부캐처럼 몇개 있는데 컴퓨터에서 각각의 계정에 대한 repository를 clone하고 commit을 push하는 것을 나는 Github Desktop을 사용해서 관리했다. 하지만 Github Desktop을 사용해서 repository를 관리하려면 매번 로그인과 로그아웃을 반복해야 했으며 간혹 아래 사진의 체크한 부분이 제대로 내 프로필이 맞는지 확인하지 않으면 간혹 다른 계정으로 커밋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커밋이 꼬이는 경우가 있었다. 그동안 계정 여러개가 있을 때, ssh key를 사용하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복잡할 것 같아 외면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사용해야겠다고 생각되어 이 글을 정리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