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산형 (2)
컴공생의 다이어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QNg5/btq3Ty7mkrz/TkSAJ5kLi9iT3lkmqZePL0/img.png)
이산형 확률분포(Discrete probability distribution) 확률 변수가 취할 수 있는 값들에 확률이 대응되어 있는 것 확률 질량 함수(probability mass function, pmf) - 이산형 확률변수에 대응되는 확률 분포를 확률 질량함수라고 함 - f(x) = P(X = x)로 표기하고, 이는 이산형 확률 변수 X가 값 x를 갖는 확률을 의미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 이산형 확률변수 X의 누적확률분포함수 F(x)는 확률변수 X가 x보다 작거나 같은 확률을 의미 누적 분포 함수의 성질 - 0≤F(X)≤1 - F(-∞)=0 and F(∞)=1 - F(x)는 비감소 함수 기댓값(=평균) - 기댓값은 확률분포에서 분포..
확률 변수(Random Variable)란? - 확률 실험의 결과에 대한 숫자적 표현 - 실험의 표본공간으로부터 실수 값(-∞, ∞)으로의 변환 함수 - 확률변수가 특정 실수 값을 가질 확률은 표본공간의 원소에 대한 확률로부터 유도됨 - 정의역(domain)이 표본공간이고 공역(codomain)이 실수값인 함수 - 확률변수는 대문자로 표시 - Ex) X, Y, Z, ... - 확률변수가 취하는 값은 소문자로 표시 - Ex) x, y, z, ... 확률변수의 종류 확률변수에는 이산형 확률변수와 연속형 확률변수가 있다. 이산형 (discrete) 유한개이거나 셀 수 있는 값을 갖는 확률 변수 ex) 박지성 선수가 한 경기에서 넣은 골수 연속형 (continuous) 무한개의 셀 수 없는 구간 또는 구간의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