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표준편차 (2)
컴공생의 다이어리
이산형 확률분포(Discrete probability distribution) 확률 변수가 취할 수 있는 값들에 확률이 대응되어 있는 것 확률 질량 함수(probability mass function, pmf) - 이산형 확률변수에 대응되는 확률 분포를 확률 질량함수라고 함 - f(x) = P(X = x)로 표기하고, 이는 이산형 확률 변수 X가 값 x를 갖는 확률을 의미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 이산형 확률변수 X의 누적확률분포함수 F(x)는 확률변수 X가 x보다 작거나 같은 확률을 의미 누적 분포 함수의 성질 - 0≤F(X)≤1 - F(-∞)=0 and F(∞)=1 - F(x)는 비감소 함수 기댓값(=평균) - 기댓값은 확률분포에서 분포..
변동성 척도(Measure of Variability:Spread)란? - 중심위치의 척도만으로 분포를 설명할 수 없음 - 변동성 : 자료의 변동, 퍼져있는 정도 - 변동성 척도 범위(Range) 사분위간 범위(Interquartile Range : IQR) 분산(Variance), 표준편차(Standard Devication)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범위(Range) - 최대값과 최소값의 거리 - 쉽고 빠르게 구할 수 있음 - 특이하게 크거나 작은 값이 있을 경우 자료의 범위에 왜곡이 발생 - 자료의 개수와 상관 없이 같게 나올 수 있음(자료의 개수가 반영X) → 자료의 변동성을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사분위범위(IQR) - 양쪽 극단값에서 자료의 25%씩 안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