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평균 (2)
컴공생의 다이어리
이산형 확률분포(Discrete probability distribution) 확률 변수가 취할 수 있는 값들에 확률이 대응되어 있는 것 확률 질량 함수(probability mass function, pmf) - 이산형 확률변수에 대응되는 확률 분포를 확률 질량함수라고 함 - f(x) = P(X = x)로 표기하고, 이는 이산형 확률 변수 X가 값 x를 갖는 확률을 의미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 이산형 확률변수 X의 누적확률분포함수 F(x)는 확률변수 X가 x보다 작거나 같은 확률을 의미 누적 분포 함수의 성질 - 0≤F(X)≤1 - F(-∞)=0 and F(∞)=1 - F(x)는 비감소 함수 기댓값(=평균) - 기댓값은 확률분포에서 분포..
중심위치 척도(Measure of Location)란? - 자료들이 대략 어떠한 값을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어느 위치를 중심으로 자료들이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평균(Mean) 중앙값, 중위수(Median) 최빈값(Mode) 사분위수(Quartile) - 평균과 중앙값은 숫자형, 최빈값은 범주형과 숫자형에 다 사용 평균(Mean)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심위치 척도 - 자료의 값(value)을 모두 더하여 자료의 수(size)로 나눈 값 - 표본 평균(Sample mean) : 표본 자료의 평균(표본 자료의 개수 : n) - 모집단 평균(Population mean) : 모집단 자료의 평균(모집단 자료의 개수 : N) - 특잇값(이상치)이 있다면 절삭 평균을 이용 (절삭 평균을 사용한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