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 (3)
컴공생의 다이어리
공유 경제(Sharing economy)란? 공유 경제란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현재는 "물건이나 공간, 서비스를 빌리고 나눠 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 모델"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인터넷과 SNS가 발달함에 따라 시공간의 제약없이도 공유경제가 확산될 수 있었으며,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것을 타인과 공유, 교환, 대여함으로써 그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협력적 소비의 일종이다. 최근 큰 인기를 받고 있는 넷플릭스 서비스의 경우도 공유 경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넷플릭스 서비스의 하나의 계정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고 비용을 분담해 지불하기 때문이다. 공유경제 현황 - 전 세계적 측면 - 공유..
샌드박스(Sandbox)란? 보호된 영역 내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외부 요인에 의해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 모델이다. ‘아이를 모래밭(샌드 박스)의 밖에서 놀리지 않는다’라고 하는 말이 어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모델에서는 외부로부터 받은 프로그램을 보호된 영역, 즉 ‘상자’ 안에 가두고 나서 동작시킨다. ‘상자’는 다른 파일이나 프로세스로부터는 격리되어 내부에서 외부를 조작하는 것은 금지되고 있다. 규제 샌드박스(Requlatory Sandbox)란? 신기술과 신서비스의 원활한 시장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혁신성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시장진출의 기회를 주거나, 시간과 장소, 규모에 제한을 두고 실증테스트를 허용하는 ‘혁신의 실험장’이다. 국민의 생명·안전에 위해가 되지 않는 한 마..
코스피(KOSPI, Korean Composite Stock Price Index, 국내종합주가지수) 코스피는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업들의 주식가격 변동을 종합해 정리해서 만든 지수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보통 한두번 들어본 대기업들(예 : 삼성전자, LG화학, SK하이닉스)과 중견기업의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는 시장 전체의 흐름이나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코스피의 주가지수는 1980년 1월 4일 당시의 가치를 100으로 산정하고 그 변화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코스피 지수가 1800선이라고 한다면, 1980년 1월 4일과 비교하여 18배의 가치가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코스피 지수가 하락했다는 것은 경제가 안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cf) 유가증권 유가증권이란 민법 또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