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숫자 (2)
컴공생의 다이어리
도수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란? - 자료의 전체적인 구성 형태를 도수(=각 범주에 속하는 관측 값의 개수)로 표현 - 빈도분포표(Frequency table)라고도 함 - 수치형 자료와 범주형 자료 모두에 사용 작성법 범주형 자료 숫자형 자료 ① 범주 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종류가 너무 많은 경우 비슷한 값을 묶어서 사용 자료의 전체 범위를 몇개의 계급(class)로 나눔 ② 첫번째 열에 모든 범주 나열 첫번째 열에 계급(class interval)을 나열 ③ 두번째 열에 각 범주에 상응하는 도수 나열 두번째 열에 각 계급(class)에 상응하는 도수 나열 범주형 자료(명목형 자료, 순서형 자료) - 값들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그 종류가 많으면 비슷한 값들을 묶어 사용 - ex) ..
자료의 구분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는 사칙연산 가능 여부에 따라 자료를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와 양적 자료(Quantitative Data)로 나눌 수 있다. 질적 자료 양적 자료 사칙 연산이 불가능 사칙 연산 가능 비계측 자료(Nonmetric Data) 혹은 범주형 자료(Categorical Data)라고도 함 계측 자료(Metric Data) 혹은 숫자형 자료(Numerical Data)라고도 함 예 : 직업, 종교, 성별 예 : 몸무게, 용돈, 가격 질적 자료(=범주형 자료) 명목형 자료(Nominal Data) - 문자로 나타내어지는 자료 - 범주간 순서가 없음 - 예 : 혈액형, 직업의 종류(전문직, 회사원, 공무원 등), 성별 순서형 자료(Ordinal Da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