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의 (9)
컴공생의 다이어리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이란? 가상 머신이란 실재하는 컴퓨터 상에 소프트웨어로 논리적으로 만들어낸 컴퓨터를 말한다. 즉 사용하는 컴퓨터는 한 대 이더라도, 마치 여러대를 사용하는 듯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여러 운영체제(OS)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이다. 가상 머신을 사용하는 이유는 실제로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여려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대의 작은 컴퓨터로 분할 사용하거나, 운영체계나 하드웨어 등의 구성을 달리하여 운영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가상 머신 종류 - Virtual Box - Parallels - VMware - ...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83%81_%EB..
프로토콜(Protocol)이란?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프로토콜 종류 계층 프로토콜 응용(Application) HTTP, SMTP, FTP, Telnet 표현(Presentation) ASCII, MPEG, JPEG, MID..
확률(Probability)이란? - 우리가 얻는 임의의 표본은 모두 확률에 의한 사건 -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0과 1 사이의 실수로 표현한 것 - 사건 : 발생 가능한 결과들의 집합, 표본공간의 부분 집합 - 단순사건 : 발생 가능한 결과들 중 하나만 발생한 사건 - 표본공간 :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단순사건을 모아 집합으로 표시한 것 모든 원소를 포함 상호 배반 표본공간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단순사건을 모아 집합으로 표시한 것 예시1) 동전을 1개 던지는 실험에 대한 표본공간 → {앞면, 뒷면} 예시2) 전구의 수명시간에 대한 표본공간 → { t | t ≥ 0, t : 실수 } 사건(event) 표본 공간 S의 임의의 부분집합 전통적 접근, 상대적 비율 접근, 주관적 접근으로 보는 ..
비트코인(Bitcoin)이란?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의 화폐 단위는 BTC로 표시한다.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을 쓰는 프로그래머가 개발하여, 2009년 1월 프로그램 소스를 배포했다. 중앙은행이 없이 전 세계적 범위에서 P2P(peer-to-peer) 방식으로 개인들 간에 자유롭게 송금 등의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거래장부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여러 사용자들의 서버에 분산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해킹이 불가능하다. SHA-256 기반의 암호 해시 함수를 사용한다. 전자적 방식으로만 거래되지만 현금을 쓸 때처럼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특징이 있다. 비트코인은 발행될 총량이 정해져 있고 130여년 뒤면..
빅데이터(Bigdata)란? 기록과 보관, 해석이 어려운 거대 데이터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의 능력을 넘어서 대량의 정형 또는 심지어 데이터베이스 형태가 아닌 비정형 데이터의 집합조차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 양(volume)이 매우 많고, 증가속도(velocity)가 매우 빠르며, 종류(variety)가 매우 다양한 데이터 빅데이터의 특징 빅데이터의 특징은 3V라고 불리는 Volume(규모), Velocity(속도), Variety(다양성)가 있다. 최근에는 Value(값), Veracity(정확성), Variability(가변성), Visualization(시각화) 등이 새로운 V로 등장했다. Volume : 물리적인 크기와 개념적인 범위까지 대규모인 데이터의 양..
통계학이란? 통계학은 관심 또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모집단(population)으로 부터 자료를 수집, 정리, 요약을 하고 표본(수집한 자료, sample) 정보로부터 자료를 뽑았던 대상 전체인 모집단에 대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통계학은 표본에서 얻은 정보를 모집단에 대한 정보로 바꾸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오차에 대한 이론의 정립과 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방법을 연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모집단(Population)과 표본(Sample) 모집단 : 관심 대상 전체 표본 : 관심대상 중 자료수집으로 뽑힌 일부분 Example) 대학생 한 달 용돈에 대해서 모집단은 전국 대학생이고, 표본은 100명(명수는 바뀌..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별 객체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사물인터넷은 단어의 뜻 그대로 ‘사물들(things)’이 ‘서로 연결된(Internet)’ 것 혹은 ‘사물들로 구성된 인터넷’을 말한다. 기존의 인터넷이 컴퓨터나 무선 인터넷이 가능했던 휴대전화들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사물인터넷은 책상, 자동차, 가방, 나무, 애완견 등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연결되어 구성된 인터넷이라 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의 3대 주요 기술 센싱 기술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샌드박스(Sandbox)란? 보호된 영역 내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외부 요인에 의해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 모델이다. ‘아이를 모래밭(샌드 박스)의 밖에서 놀리지 않는다’라고 하는 말이 어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모델에서는 외부로부터 받은 프로그램을 보호된 영역, 즉 ‘상자’ 안에 가두고 나서 동작시킨다. ‘상자’는 다른 파일이나 프로세스로부터는 격리되어 내부에서 외부를 조작하는 것은 금지되고 있다. 규제 샌드박스(Requlatory Sandbox)란? 신기술과 신서비스의 원활한 시장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혁신성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시장진출의 기회를 주거나, 시간과 장소, 규모에 제한을 두고 실증테스트를 허용하는 ‘혁신의 실험장’이다. 국민의 생명·안전에 위해가 되지 않는 한 마..
웹사이트는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 요소(HTML, CSS, JS)로 구성된다.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 하이퍼 텍스트 : 참조(하이퍼링크)를 통해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 마크업 언어 : 문서의 구조를 표현하는 역할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언어 웹페이지에서 제목, 이미지, 동영상, 문단, 표, 등을 정의하고 그 구조와 의미를 부여하는 정적 언어 웹의 구조를 담당 CSS(Cascading Style Sheets) 캐스캐이딩 스타일 시트 캐스캐이딩 : '계단식,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을 의미 스타일 시트 : 글꼴의 크기, 모양, 컬러, 문단 설정 등 미리 정의해 스타일로 만들었다가 웹 문서의 본문에서 그 스..